안녕하세요!
아르바이트나 단기 근무를 하시는 분들, 급여명세서를 보며 “이거 주휴수당 빠진 거 아냐?” 하고 의심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주휴수당의 존재를 모르거나, 어떻게 계산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‘주휴수당’이 정확히 무엇인지, 어떻게 계산하는지, 그리고 쉽고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온라인 계산기까지 소개해드릴게요!
🏷️ 주휴수당이란?
1주일간 정해진 근무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
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,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해당 주를 개근한 경우, 평균 1일치 임금을 더 받을 수 있어요. 이게 바로 ‘주휴수당’입니다.
✔ 적용 대상: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 (정규직/비정규직 모두)
✔ 지급 시기: 매주 개근 시마다 발생
💡 주휴수당 계산 공식
✅ 주 40시간 이상 근무자
주휴수당 = 1일 소정근로시간 × 시급
✅ 주 40시간 미만 근무자 (시간제/알바 등)
🧾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① 정규직 근로자
- 주 5일 × 하루 8시간 = 주 40시간
- 시급 10,030원
- 주휴수당 = 8 × 10,030 = 80,240원
② 주 3일 아르바이트
- 하루 5시간 × 주 3일 = 주 15시간
- 주휴 시간 = 15 × 8 ÷ 40 = 3시간
- 주휴수당 = 3 × 10,030 = 30,090원
✔ 포인트: ‘주 15시간 이상’만 넘으면 주휴수당 대상이 됩니다!
🔍 추천 주휴수당 계산기 사이트
- 시프티 계산기 – UI 간단, 실시간 계산
👉 바로가기 - 알바천국 계산기 – 근로시간 + 시급 입력 시 상세 결과 제공
👉 바로가기 - 노동OK 계산기 – 발생 조건부터 자동 체크
👉 바로가기 - 알바몬 급여계산기 – 세금, 야간수당까지 한 번에 확인
👉 바로가기
❗ 주의할 점
- 결근 시 지급 제외: 개근해야 지급 조건 충족
- 지각·조퇴는 OK: 결근이 아니므로 주휴수당은 지급
- 최저시급 기준 변동 주의: 2025년 기준 시급 10,030원 반영해야 정확함
- 5인 미만 사업장도 적용: 모든 사업장에 해당됩니다
✅ 정리 요약
항목내용
대상 |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 |
조건 | 1주일 개근 |
계산법 | 근무시간 기준 주휴수당 계산 |
계산기 | 시프티, 알바천국, 노동OK 등 활용 |
주의 | 결근은 주휴수당 지급 제외 사유 |
✨ 마무리
“주휴수당”은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소중한 권리입니다.
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라면, 반드시 본인이 받을 자격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.
급여 명세서 확인 후 누락되어 있다면 정중하게 요청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.
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!
여러분의 권리는 꼭 챙기셔야 합니다 😊
댓글